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R을 사랑한 느림보 데이터 분석가
면접 복기&회고 본문
면접 시행착오
G** 실무면접
줌으로 진행
탈락요인: '데이터 분석을 하고 난 후에 검증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
하** 실무면접, 임원면접
실무면접: 성과 위주의 질문을 많이 받음
임원면접:
탈락요인
1. 힘들었던 경험 질문에 대해 개인적인 힘듦을 답변하여 의사소통 미스가 이뤄졌다고 봄(힘든 경험 준비 필요)
2. jd와 다른 내용을 실무 면접 당시 많이 얘기해서 다시 한번 확인해 본다는 것을 임원면접 시 물어봐서 여기서도 감점요인이라고 생각함
브** 실무면접
성과 어필 및 답변에는 감이 잡혀서 어려움이 없었지만 실무 질문에서는 똑소리 나게 답변하지 못함
실무 질문 키워드:
- eda란?, eda목적, 방법
- 머신러닝, 딥러닝 차이
- RNN
- 피처 개념
- 혼동행렬, ROC곡선
- 분류모델 평가 3가지(Accuracy, Precision, Recall) 차이
- 중심극한정리 개념
- 회귀, 상관, 시계열
- t검정 개념
- 다중공산성, 해결방법
이것보다 더 많지만 다른 건 진짜 내가 모르는 내용이라서 기억에 남지 않음
회사 규모, 회사 수익 모델에 따라 내 업무가 크게 달라지는 것을 면접을 통해서 겪어 나가는 중
기업 공부가 부족하단 판단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 회사 규모가 작으면 작을수록 실무 역량을 더 많이 따짐
B2C, B2B: 기업이 고객인 경우 데이터 엔지니어 성향이 강하고, 소비자가 고객인 경우 데이터 마케터 성향이 강함. 내가 가고 싶어 하는 방향성을 확실히 다질 필요가 있음
SI, SM: SI는 여러 툴을 잘 다루는 것에 초점이면 SM은 방법론, 개념에 더 중점을 둠
부족하다고 느끼지 못하면 배우지 않는다.
너무 놀았다... 공부하자.
어렴풋이 알고 있는 것을 내가 다 알고 있다고 착각하지 말 것
내가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 줄 수 없다면 알고 있다고 말할 수 없음
'커리어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일기 #2. 계획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무용지물이 된다. (0) | 2023.09.04 |
---|---|
직장 일기 #1. 내 예상과는 다르게 흘러간다. (0) | 2023.08.31 |
오늘 면접보고 느낀 생각 (0) | 2023.08.02 |
블로그를 시작하기 위한 TEST (0) | 2023.07.14 |
환영합니다! (0) | 202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