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7)
R을 사랑한 느림보 데이터 분석가

갔다 온 지는 몇 달이 넘었지만, 뒤늦게라도 참관 후기를 남겨봅니다. AI 관련 컨퍼런스는 처음 방문했고, 계획된 일정은 아닌 즉흥적으로 참관하기로 결정했습니다.급하게 연차도 쓰고, 뒤늦게 볼 수 있는 세미나를 다 신청해봤지만 대기자만 될 뿐...다행히도 대규모 인원이 들을 수 있는 세미나를 신청하고 5월 2일 목요일 컨퍼런스를 참관하게 되었네요 ㅎㅎ 실제로 들어보고 싶었던 세미나는 참여하지 못했지만, AI 비지니스, 트렌드, 최신 동향을 알고 싶었어요. 가장 큰 강의실로 보이는 곳에 제일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귀담아듣는 곳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갔습니다.제가 신청했던 컨퍼런스 내용이기도 했지만 입장권 같은 걸 확인하는 사람도 없고 나중에 쫓겨나면 그때 끊어야지 생각했어요. 'Auantum Jump of ..
제안서를 쓰면서 여기저기 써칭해보면서 TIL TIL #240809 ROC-AUC, PR-AUC 개념 비교 정리 TPR = Recall = Sensitivity: 실제 1의 정확도FPR: 실제 negative(0) 중 positive(1)로 잘못 예측한 비율 Precision: 예측 1의 정확도 ROC-AUC: x축 FPR, y축 TPRPR-AUC: x축 TPR, y축 Precision ROC와 PRthreshold(임계값)에 관한 해석 Cumulative Gains and Lift Charts lift는 모델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모델을 적용했을 때와 적용하지 않았을 때 얻은 결과의 비율로 계산누적이익 차트와 리프트 차트 [ML] 분류 성능 지표: Precision(정밀도), Recall(재현율), F..

데이터이쿠를 스터디하고 있다.영어랑 안친한 난...최대한 영어를 한글화해보면서 겸사겸사 블로그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Data Preparation Quick Start Explore data 데이터는 10,000 rows, 18 columns를 보여주고 있음 columns: job_id, title, location, department, salary_range, company_profile, description, requirements, benefits, telecommuting, has_company_logo, has_questions, employment_type, require_experience, required_education, industry, function, fraudulent..

글 쓰는 또라이가 세상을 바꾼다 글 쓰는 또라이가 누구야? 취준 겸 이직을 위해 즐겨찾기한 데이터 사이언스 인터뷰 질문 모음집 포스팅 글을 찬찬히 읽어보다가 블로그 주인이 궁금해졌다. 취미 블로그를 쓰고 있는 나와는 다른 행보로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 부러웠다. 기술 블로그를 써보고 싶다는 생각만 하고 제대로 추진해 보지 못한 입장에서 여기저기 구경을 하다 보니 여러 활동을 많이 해왔었고 글또를 운영한다는 걸 알게 되었다. '글 쓰는 또라이가 세상을 바꾼다'라는 그 문구도 몹시 매력적이었다. 글 쓰는 것을 좋아하는 입장에서도 그러하고, 또라이라는 것 역시 정상인 범주에 벗어나 있단 내 사고로 보아 마음에 드는 단어였다. 조금 더 추적하다 보니 8기, 7기 글이 발행되는 시점이 대략 하반기에 많이 분포되어..
5월에도 꾸준히 안목 기르기! TIL #240509 1등 왜 못함? 그냥 SOTA Model 쓰면 되잖아 ㅋㅋ SOTA: state of the art, 현재 최고 수준의 결과 TIL #240510 파이썬 | 정규표현식(re) re.compile 사용을 위한 표현법 List Comprehension 문법 정리 [Python] List Comprehension 에 대한 이해 TIL #240524 LLM) Chat Vector 논문 내용 및 실험해보기 CP: Continual Pre-training 꾸준히 성장하는 모델PLM: Pre-trained Language Model 사전 훈련된 언어 모델 PLM과 Chat Model을 이용해서 Chat Vector를 얻자SFT, RLHF, DPO 방식 사전 훈련한..

출퇴근 시간에 노래는 잘 안 듣고 독서, 유튜브, 손경제를 합니다.그러다 퇴근길 지하철에서 재미있는 AI 트렌드를 들을 수 있어서 공유하고 싶은 마음과 다시 읽어보고 싶은 마음으로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2024년 3월 7일에 방송한 손경제 내용을 일부 요약했습니다.직접 다시 들어보고 싶다면, 팟캐스트와 팟빵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1,2부 [이슈플러스] 딥페이크의 경제력 잠재력 - 김상윤 중앙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딥페이크 소개AI의 최대 부작용 딥페이크(deepfake)는 딥러닝(인공지능) 데이터 학습 방법론으로 딥러닝(Deep Learning) + 가짜(fake) 합성어임 가짜를 만들어내는 영역에서 활용. 대표적으로 연예인/정치인이 이용됨'딥페이크'라는 신조어/용어의 뉘앙스가 별로 좋지 않음레딧이라는..